[EN]
CHOI&CHOI Cologne presents a group exhibition featuring five Korean women artists working across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itled Like a Poem She Never Wrote, the exhibition delves into the unspoken narratives woven into each artist’s practice. Like a poem that exists only in the imagination, these works employ colour, form, materiality, and symbolism to articulate a visual language that transcends words.
Bringing together paintings and sculptures, the exhibition highlights each artist’s distinct voice and visual sensibility. The works give form to unnamed, unspoken symbols and invite viewers to engage with them, opening up new layers of meaning.
Jina Park (*1980), based in Berlin, draws on her personal experience of living between cultures. Her meticulous use of egg tempera creates surreal landscapes where memory, fantasy, and cultural fragments converge. Influenced by the non-linear perspectives found in East Asian painting traditions, Park constructs a “house of wonder” inhabited by exotic flora, fauna, and artefacts, interwoven with symbolic elements. Her compositions pose questions about cultural belonging, appropriation, and identity. Through repeated motifs of treasure, guardian, and thief, she encourages reflection on postcolonial power dynamics and Western perceptions of the ‘foreigner,’ opening space for multiple perspectives shaped by cultural difference.
Jukhee Kwon (*1981), based in Rome, transforms old and discarded books into delicate paper sculptures. With great care, she cuts, kneads, tears, and shapes the pages into flowing paper waterfalls, nests, cocoons, and abstract forms. These sculptures evoke a quiet poetic beauty and serve as meditations on impermanence, absence, and repetition. The printed characters on the aged pages acquire a new sense of temporality, as they are stripped of their original function and given renewed meaning. Kwon’s work reminds us that every ending carries the potential for a beginning, turning acts of destruction and decay into gestures of creation.
Stella Sujin (*1983), living and working in Paris, challenges fixed ideas of femininity and their associated visual codes - such as flowers, vulvas, and crimson-lipped portraits - through her expressive watercolours. By confronting deeply ingrained visual conventions, she creates unsettling images that merge symbolism, surrealism, myth, and reality. Her works, at times elegant and at other times grotesque, invite viewers to question the assumptions that shape our perceptions.
Sejin Hong (*1992), based in Seoul, creates work grounded in her lived experience as a hearing-impaired artist. Able to perceive only sounds above 95 decibels, she transforms this sensory limitation into the basis for a new aesthetic language, where absence becomes its own form of sensory experience. Her paintings juxtapose pastel-toned geometry and symmetry with organic curves and translucent, veil-like surfaces, giving form to a deeply personal sensorial world.
Sojeong Lee (*1993), living and working in Düsseldorf, translates her dreams and nightmares into rich symbolic imagery. Influenced by Freud’s theories of the unconscious, she delicately captures emotional states such as loneliness and alienation in paint. Everyday objects like paper planes and raincoats take on new symbolic meaning, blending with figures that seem to drift between dream and reality, and imbuing her canvases with a unique emotional charge.
[DE]
CHOI&CHOI Köln präsentiert eine Gruppenausstellung fünf koreanischer Künstlerinnen aus unterschiedlichen Orten. Der Titel "Wie ein Gedicht, das sie nie schrieb" verweist auf die unausgesprochenen Geschichten, die in den Werken der Künstlerinnen zum Ausdruck kommen. Wie ein Gedicht, das nur in der Imagination existiert, sprechen ihre Arbeiten in einer Sprache jenseits der Worte, durch Farbe, Form, Materialität und Symbolik.
Diese Ausstellung versammelt künstlerische Stimmen, die jeweils ihre eigene poetische Sprache entwickelt haben; Gedichte in Form von Malerei und Skulptur, die das Unsagbare sichtbar machen und neue Lesarten eröffnen.
Jina Park (*1980) lebt in Berlin und ihre Arbeiten sind von persönlichen Erfahrungen zwischen Kulturen geprägt. In präziser Eitempera-Technik erschafft sie surreale Bildwelten, in denen Erinnerungen, Illusionen und kulturelle Fragmente aufeinandertreffen. Inspiriert von ostasiatischen Maltraditionen ohne festen Blickpunkt, versammelt sie exotische Pflanzen, Tiere und Artefakte zu metaphorischen „Wunderkammern“. Zentral sind Fragen nach kultureller Zugehörigkeit, Aneignung und Identität. Durch die wiederkehrende Konstellation von Schatz, Wächter und Räuber reflektiert Park postkoloniale Machtverhältnisse sowie den westlichen Blick auf das „Fremde“. Ihre Werke fordern zur Selbstreflexion heraus und eröffnen je nach kulturellem Hintergrund unterschiedliche Perspektiven.
Jukhee Kwon (*1981) lebt in Rom und verwandelt alte, weggeworfene Bücher in fragile, vielgestaltige Papierarbeiten. Sie zerschneidet, knetet, reißt und formt die Seiten mit großer Sorgfalt zu poetischen Skulpturen, von herabfließenden „Papier-Wasserfällen“ bis hin zu Nestern, Kokons oder abstrakten Gebilden. Ihre Werke sind eine meditative Auseinandersetzung mit Vergänglichkeit, Abwesenheit und Wiederholung. Zeit wird zur Form, das geschriebene Wort verliert seine ursprüngliche Funktion und erhält zugleich eine neue Bedeutung. Kwon zeigt, dass in jedem Ende auch ein Anfang liegt – und verwandelt Zerstörung in schöpferische Kraft.
Stella Sujin (*1983) lebt in Paris und hinterfragt Bildsprachen, die stereotypisch mit Vorstellungen von Weiblichkeit assoziiert werden – Blumen, Vulven, Porträts mit karminroten Lippen. Gegen diese tief verwurzelte Formelhaftigkeit setzt sie eine Form der nicht-homogenen Monstrosität. Mit Aquarell als bevorzugtem Medium schafft sie mit einer ultra-verstärkten Palette und verstörenden Bildern eine einzigartige Ikonographie, die den Betrachter dazu drängt, über eigene Grenzen und Reaktionen zu reflektieren.
Sejin Hong (*1992) arbeitet in Seoul aus einer zutiefst persönlichen Erfahrung heraus: Als Künstlerin mit Hörbeeinträchtigung kann sie nur Geräusche über 95 Dezibel wahrnehmen. Diese sensorische Einschränkung wird zum Ausgangspunkt einer künstlerischen Praxis, die Verlust in neue Sinneserfahrung übersetzt. In ihren geometrischen Kompositionen mit Pastelltönen stellt sie perfekte Symmetrien den organischen Kurven gegenüber. Durch verhüllte, halbdurchsichtige Oberflächen macht sie persönliches Spüren sichtbar.
Sojeong Lee (*1993) lebt in Düsseldorf und verwandelt ihre Träume und Albträume in eine symbolreiche Bildwelt. Inspiriert von Freuds Theorie des Unbewussten, verarbeitet sie emotionale Zustände wie Einsamkeit und Fremdheit. Traumartige Figuren mit Gegenständen wie Papierfliegern oder Regenmänteln beleben ihre Gemälde, die zwischen Realität und Fantasie wechseln. Lee entwickelt eine eigene visuelle Sprache, die Alltägliches mit tiefer Symbolik verbindet.
[KR]
초이앤초이 갤러리 쾰른에서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섯 명의 한국 여성 작가들의 단체전을 선보인다. 제목 “ 그녀가 결코 쓰지 않은 시처럼”은 작가들의 작품들이 내포하고 있는 말하지 않은 이야기들을 의미한다.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시처럼, 그녀들의 작품은 색채, 형태, 물질성, 상징성을 통해 언어를 초월한 시각 언어로 표현된다.
이번 전시에서 회화와 조각으로 표현되는 작품들은 각각 고유한 시적 언어를 만들어가는 예술가들의 목소리들을 한곳에 모으며,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상징들을 가시화하고, 이는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독일 베를린에서 거주하고 활동하는 박지나(*1980) 작가의 작업은 서로 다른 문화를 접하며 살아가는 개인적 경험에서 출발한다. 작가는 정밀한 에그 템페라 기법을 통해, 기억과 환상, 문화적 파편들이 충돌하는 초현실적인 시각 세계를 회화 속에 펼쳐낸다. 동아시아 회화 전통의 고정된 시점이 없는 구성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그녀의 화면에는 이국적인 식물, 동물, 유물들이 혼재하며 다양한 은유적 요소들이 공존하는 ‘경이로운 방’이 형성된다. 이는 문화적 소속감, 전유, 정체성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작가는 ‘보물’, ‘수호자’, ‘강도’라는 반복적인 도상을 통해 탈식민주의적 권력 관계와 ‘이방인’을 바라보는 서구의 시선에 대한 성찰을 끌어낸다. 그로 인해, 작품은 관객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해석과 질문을 허용한다.
이탈리아 로마에 거주하며 작업하는 권죽희(*1981) 작가는 오래되고 버려진 책들을 섬세하고 다양한 형태의 종이 조각으로 변환시킨다. 작가는 책의 페이지를 자르고, 반죽하고, 찢고, 형태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흘러내리는 ‘종이 폭포’부터 둥지나 고치 같은 구상 조각, 그리고 추상적인 형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각 작업을 완성한다. 그녀의 작품은 시적인 아름다움을 담은 창조물로, 무상함과 부재, 반복에 대한 명상적 탐구로 이어진다. 고서에 쓰인 활자들은 본연의 기능을 잃는 동시에 시간성을 부여받고,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된다. 권죽희 작가는 작품을 통해 모든 끝에는 또 다른 시작이 있음을 보여주며, 파괴와 소멸의 과정을 창조적 에너지로 전환시킨다.
프랑스 파리에서 거주하며 작업 활동을 이어가는 스텔라 수진(*1983) 작가는 여성성에 대한 관념과 그것에 고정적으로 연관된 시각 언어인 꽃, 여성 성기, 진홍빛 입술의 초상을 통해 우리의 인식 속 고정관념에 질문을 던진다. 작가는 인식에 깊이 뿌리내린 전형적이고 공식적인 접근 방식에 맞서며, 수채화를 주요 매체로 사용한다. 감각적인 색채 팔레트와 불안감을 자아내는 이미지를 통해 상징과 초현실주의, 신화와 현실이 공존하는 장면들을 구축한다. 그녀의 작품은 때로는 미학적으로, 때로는 그로테스크하게 표현되며, 관람객들에게 고정된 관념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성찰의 문을 열어준다.
서울에서 작업하는 홍세진(*1992) 작가의 작품은 제한된 청각 감각 속에서 살아가는 그녀의 삶에서 비롯된다. 작가는 일상적인 대화나 소리에는 접근할 수 없고, 오직 95데시벨 이상의 극단적인 굉음, 예를 들어 비행기 엔진 소리나 금속 충돌음 같은 소리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각의 결핍과 단절은 단순히 소리를 시각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감각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예술적 실천으로 확장된다. 작가는 회화와 설치를 통해 인간 감각의 비정형적 언어와 신체적 인지를 조형적으로 실험하며, 감각의 전환이 어떻게 또 다른 인식의 장을 열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파스텔 톤의 기하학적 구성, 완벽한 대칭과 유기적 곡선의 대비, 베일처럼 가려진 반투명한 표면은 모두 이러한 탐구의 시각적 결과물이다. 이처럼 감각 조건에 대한 사적인 체험에서 출발한 작업은 점차 사회적·기계적 현상으로까지 시선을 확장하며, 감각의 경계를 넘나드는 조형 언어를 통해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고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거주하며 작업하는 이소정(*1993) 작가는 자신의 꿈과 악몽을 상징이 풍부한 시각 세계로 전환한다.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그녀는 외로움, 소외감과 같은 감정 상태를 섬세하게 회화로 표현한다. 종이비행기, 비옷 등 일상적인 사물에 새로운 상징성을 부여하며, 화면 속 인물들과 함께 이 요소들은 현실과 꿈의 경계를 넘나드는 듯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이소정의 회화는 그렇게 몽환적인 긴장감과 감정의 깊이를 지닌 고유한 생명력을 획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