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In Times of Light: Helena Parada Kim

16 May - 28 June 2025

초이앤초이 갤러리는 독일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헬레나 파라다 김 작가의 개인전 '빛이 머무는 시간'을 서울 공간에서 선보인다. 2025년 5월 16일 개막하는 이 전시는 한국인 파독 간호사 모친과 스페인인 부친 사이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성장한 작가의 다문화적 감수성이 창출한 독창적 시각 언어를 조명하며 문화적 경계를 넘나드는 미학적 성찰을 제시한다.

전시의 주요 작품인 '스텔라 마리스'는 조선 시대 신부의 혼례 복인 활옷에 서양 르네상스 미술의 모티프를 결합 시킨 작품이다. 부부의 금술이나 다산, 장수 등을 상징하는 봉황새, 연 꽃 등 한국의 전통 요소들로 화려하게 수놓아진 활옷의 중앙에 이태리의 르네상스 화가 안토넬로 다 메시나의 '성모와 아이'를 배치함으로써 서양미술사의 전통적인 상징인 모성과 다산의 축복을 한층 더 시각화한다. 작가는 이렇게 서로 다른 문화권이지만 같은 보편성을 상징하는 문화적 코드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발견한다.

파라다 김 작가는 파독 간호사 2세로써 독일에서 성장하면서 관찰한 개인적 서사와 집단적 역사의 교차점을 작품을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간호사와 학' 작품은 1970년대 독일 쾰른에서 촬영된 작가의 어머니와 동료 한국인 간호사들의 단체사진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창덕궁에 소장된 김은호 화백의 병풍 작품이 배경이 된 이 작품은 한국의 파독 노동자들의 역사를 교포 2세의 시선으로 증언하며 동시에 한 역사 속에서 개인과 가족, 집단이 겪어야 했던 운명을 함축하여 보여준다.

작가는 작품에서 한복을 입은 인물들의 얼굴을 흐리게 처리하거나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개인의 정체성보다 한복이라는 의복 자체의 문화적 상징성과 미학적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의도적 선택이다. 하지만 그녀의 그림에 등장하는 한복들은 대부분 실제 그녀의 어머니와 그녀와 함께 독일로 왔던 이모들, 비슷한 처지의 간호사 동료들이 소유했던 것들로 그녀들 개개인의 삶을 내포하고 있다. 희미한 얼굴로 인해 익명성을 지니게 되는 이 그림들의 한복들은 보는 이들에게는 한 개인의 삶과 이들이 살았던 시대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게 하는 하나의 단서가 되고 이는 개인과 집단의 역사의 서사를 탐구하게 하는 시작점이 된다.

한국 전통의 아름다운 미술적 요소들과 서양 미술사적 모티프의 만남, 파독 간호사들의 역사와 작가 자신의 개인적 가족사의 기록이 섬세한 회화 기법을 통해 창조된 회화들로 이 전시는 구성되었고 이는 관람객들에게 특정한 문화의 정체성과 이를 다양하게 탐구하고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