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the LIFE III: Yu Jinyoung

4 September - 18 October 2025

CHOI&CHOI Gallery presents ‘the LIFE III’, a solo exhibition by Korean sculptor Yu Jinyoung (b. 1977). This marks the artist’s third solo presentation with the gallery, following I’m OK (2013) and the LIFE (2018) at CHOI&CHOI Cologne. The exhibition introduces new works that probe the precariousness of existence and identity within the conditions of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Yu Jinyoung is best known for her life-sized sculptures rendered in transparent PVC. The artist refers to these figures as “invisible people.” Adorned in elaborate patterns, garments, and accessories, they project a pronounced outward presence, yet their faces remain mask-like, expressionless, and resistant to easy interpretation. Their transparent bodies disclose an inner void, articulating themes of anonymity, isolation, and the erosion of human connection. In this exhibition, Yu experiments with the spatial arrangement of her figures, raising questions about the shifting boundaries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inner self and external image.

 

The works emerge from an elaborate and painstaking process. Facial features are first sculpted in clay, then molded in silicone and cast in FRP (fiberglass-reinforced plastic). The body is similarly modeled in clay, cast in plaster, and transferred into PVC (polyvinyl chloride), a rigid plastic that, when heated, becomes pliable. The material is pressed into plaster molds to capture the desired form. Each element, including face, shoes, and body, is finely sanded, painted with acrylics, and assembled into a single figure using transparent nylon threads. Whereas Yu initially also employed pastels, she has more recently worked exclusively with acrylic paints, intensifying areas around the eyes and nose with reddish tones to impart a distinctive liveliness to her figures.

 

Yu’s practice resonates within an art-historical lineage and recalls the concerns of late twentieth-century sculptors such as Bruce Nauman, George Segal, and Doris Salcedo. Like these artists, Yu addresses the absence of humanity in contemporary life and the alienation of the wounded, marginalized individual. The impassive faces of her figures are at once literal visages and yet are “social masks,” signaling of suppressed emotions and personas adopted in public life. Traditionally, masks have functioned in rituals, ceremonies, or theaters to conceal the wearer’s own identity and embody another’s. In today’s society, they have come to symbolize the concealment of one’s identity and the performance of socially prescribed roles in order to fit in and survive. Yu contemporizes this tradition and rearticulates it through her distinctive sculptural language to expose the instability of human existence within social structures.

 

Born in South Korea in 1977, Yu Jinyoung received her MFA in sculpture from Sungshin Women’s University in 2005. Her practice has been presented in solo exhibitions at CHOI&CHOI Cologne and Shoshana Wayne Gallery in Los Angeles, and she has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institutions including the Michael Horbach Foundation (Cologne), Vestfossen Kunstlaboratorium (Norway), Yellowstone Art Museum (Montana, USA), Gyeongnam Art Museum, and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establishing an active presence on the international stage. Yu lives and works in South Korea.

 

초이앤초이 갤러리는 한국 조각가 유진영(1977년생)의 개인전 the LIFE III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13년 I’m OK와 2018년 the LIFE, 두 차례 초이앤초이 갤러리 쾰른 개인전에 이은 세 번째 개인전으로, 현대 소비 사회 속에서 존재와 정체성의 불안정성을 탐구하는 새로운 조각 작품들을 선보인다.

 

유진영은 투명한 PVC로 제작한 실물 크기의 인체 조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작가는 이 인물들을 ‘보이지 않는 사람들(invisible people)’이라 명명한다. 이 인물들은 화려한 패턴의 옷과 장식품으로 치장되어 있지만, 얼굴은 가면처럼 무표정하고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외양은 화려하나 투명한 몸은 공허한 내면을 드러내며, 익명성·고립감·인간적 교류의 상실이라는 주제를 드러낸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인물들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치하며, 개인과 사회, 내적 자아와 외적 이미지 사이의 경계를 질문한다.

 

유진영의 조각은 섬세하고 복잡한 제작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얼굴은 흙으로 빚은 뒤 실리콘 틀을 제작해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섬유 강화 플라스틱)로 캐스팅하며, 신체는 흙작업으로 형상을 만든 후 석고 캐스팅을 거쳐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로 옮겨낸다. PVC는 커다란 책받침과 유사한 경질 플라스틱으로, 열을 가하면 말랑해지는데 이때 석고틀에 눌러 형태를 떠낸다. 이후 얼굴, 신발, 몸체를 각각 정교하게 사포질하고 아크릴 물감으로 채색한 뒤, 낚시줄을 이용해 각 부분을 하나의 몸체로 연결한다. 초기에는 파스텔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아크릴 물감으로만 작업하며, 특히 눈 주변과 코를 붉게 처리해 인물에 특유의 생기를 불어넣는다.


작가의 작업은 미술사적 맥락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브루스 나우만(Bruce Nauman), 조지 시걸(George Segal), 도리스 살세도(Doris Salcedo) 등 20세기 후반 서구 조형미술가들이 탐구한 주제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 이들 작가들이 표현하고자 한 현대 사회 속 인간성의 부재, 소외되고 상처받는 개인이라는 주제를 유진영 역시 다루고 있다. 특히 작품에 나타나는 무표정한 얼굴은 실제 얼굴이면서도 감정을 숨긴 채 외부에 드러나는 사회적 얼굴, 즉 가면을 연상시킨다. 가면은 본래 종교적·의례적 행위나 연극에서 진짜 얼굴을 가리고 다른 존재를 대신하는 도구였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가면은 정체성을 은폐하거나 사회적 역할에 맞는 모습을 연기하는 개인을 상징하게 되었다. 유진영의 작업은 이 전통적 맥락을 현대적으로 확장하여, 사회 속 인간 존재의 불안정성을 자신만의 조형 언어로 드러낸다.

 

1977년 한국에서 태어난 유진영은 현재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한다. 2005년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조소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초이앤초이 갤러리 쾰른과 로스앤젤레스 쇼샤나 웨인 갤러리에서 개인전, 쾰른 미하엘 호어바흐 재단, 노르웨이 베스트포센 미술관, 옐로스톤 미술관(미국 몬태나), 경남도립 미술관, 사비나미술관(서울) 등의 단체전에 참여하며 국제적으로 폭 넓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